한국인 직원이 거론되고 있다
페이지 정보
담당자명 : test상호명 :
이메일 : test123@google.com
연락처 :
작성일25-03-19 00:16 조회40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배경과 관련해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에 채용된 한국인 직원이 거론되고 있다.
해당 직원이 INL과 한국원자력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긴 하지만, 해당 연구와는 무관한 일반 원자로 설계 자료.
공동 주최한 좌담회에서 해당 사태가 큰 문제인 것처럼 통제불능으로 된 것이 유감이라며 큰일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민감국가리스트는 에너지부의 실험실에만 국한된 것"이라며 "여러 실험실에서민감한 정보에 대한 취급 부주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com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가 18일 미국 에너지부가국가안보 및 핵 비확산 분야 우려를 이유로 ‘민감국가’ 명단에 한국을 포함시킨 배경으로 “민감한 정보를 잘못 다룬 몇몇 사건(incidents)”을 거론했다.
윤 대사대리는 이날 한 간담회에서 “에너지부.
작년까지민감국가목록에 포함된 25개 나라는 주로 테러 우범국이거나 미국의 제재 대상국들이었다.
여기에 한국이 추가되면서민감국가는 26국으로 늘었는데 이들 중 미국의 동맹국은 한국이 유일하다.
이상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국내 언론에선 미국.
호텔에서 열린 암참 초청 특별 간담회에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정부는 그제 미 에너지부가 한국을민감국가리스트에 포함한 것은 “외교 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앵커] 보신것처럼 이번 사태와 관련된 사례를 어느 정도 파악한 정부는 뒤늦게나마 적극 대응에 나섰습니다.
[리포트] 미국 에너지부는 원자력과.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 직원이 최근 원자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유출하려다 적발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미국 정부가 한국을민감국가로 지정한 일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리포트] 아이다호국립연구소는 미국의 원자력.
[앵커] 미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과 관련한 파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작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는 큰일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국한된 일로민감한 정보가 부주의하게 취급된 일이 있었다며 한국이 명단에.
정부는 이 안이 발효되기 전 목록에서 한국이 제외될 수 있게 총력 대응한단 방침인데요, 최종 리스트에서 실제 제외될지는 미지수.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의 보안 문제가 원인이 됐다는 설명이었는데, 그러면서도 미국 측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