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여름’ 포스터
페이지 정보
담당자명 : sans339상호명 :
이메일 :
연락처 :
작성일25-07-31 16:01 조회6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평택입주청소
‘첫여름’ 포스터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영순(허진 분)은 답답하다. 전화를 받지 않는 남자 친구 학수 때문이다. 당장 내일이 손녀의 결혼식이지만 머릿속은 온통 남자 친구의 생각뿐이다. 그리고 걸려 온 한 통의 전화. 영순은 학수가 세상을 떠났고, 내일이 사십구재(四十九齋)란 연락을 받는다. ‘처량한’ 인생을 살아온 자신에게 따뜻한 손길을 내주었던 학수. “난 저승 친구가 더 많아”. 영순은 익숙한 듯 덤덤하게 이야기하지만, 마음은 그렇지 않다. 영순은 선택의 기로에 선다. 손녀의 결혼식에 갈 것인가, 아니면 학수의 사십구재에 갈 것인가.영화 ‘첫여름’이 내달 6일 메가박스를 통해 관객들을 찾는다.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41기 허가영 감독이 연출한 단편영화다. 올해 칸영화제 ‘라 시네프(La Cinef)’ 부문에서 한국 영화 최초로 1등 상을 수상했다. 지난 3일 개막한 제29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첫 상영이 된 바 있다.영화는 노년의 ‘영순’의 시선을 조용히 따라간다. 자식을 모두 키워 내보냈더니 늙어서는 거동이 힘든 남편을 보살펴야 하는 삶. 누군가의 엄마로, 아내로 자신에게 지워진 짐을 평생 이고 살아온 영순은 춤을 출 때만큼은 오롯이 여자로 피어난다. 콜라텍에서 우연히 만나, 함께 춤추고, 그렇게 사랑한 학수는 그런 여자로서의 영순을 깨워준 사람이었다. 학수를 향한 영순의 애정은 ‘불륜’이란 관계의 이름을 잊게 만든다. 담담하게 적어낸 영순의 이야기는 ‘할머니’란 수식어에 가려져 버린 ‘여자’의 사랑과 욕망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다.허가영 감독은 “노년기라는 생애주기의 특수성은 분명 있지만, 노인 역시 청년과 같이 누군가를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어한다”면서 “이 영화를 본 누군가가 ‘할머니’ 영순이 아닌 한 여자로서 영순과 동행했다는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싶었다”고 밝혔다.허진 배우의 연기는 노년이라는 설정과 사랑, 그리움의 서사를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나는 어떤 여자일까?”. 학수 앞에서 수줍게 떨리는 목소리, 그를 바라보는 사랑스러운 눈빛은 한 여자가 품은 순수한 설렘을 화면 밖까지 전한다. 학수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조금씩 떼어내 영화 전반에 흐르는 노래 ‘못잊어’에 실어 보내는 섬세한 연기도 돋보인다. 골격이 드러나는, 얇은 티셔츠를 입은 특유의 분위기까지도 ‘할머니’이자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미국 추상회화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가 31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개인전 ‘Mark Bradford: Keep Walking’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07.31. pak7130@newsis.com
평택입주청소